일본 여행을 가서 한국인이 알아두면 좋은 기본적인 에티켓, 예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본은 한국과 가깝고 비슷한 문화를 많이 공유하고 있지만 일본만의 특유한 문화들로 인해 다른 나라들과는 다른 특징적인 예절 법칙들이 있는데요. 법적으로 문제될 것들은 아니지만 모르면 혼자 뻘쭘하게 느낄 수 있는 그런 상황들이 연출되기도 합니다. 단체로 하는 여행이야 그렇다고 치더라도 만일 혼자 여행을 해서 일본 사람들이 보기에는 이상한(?) 이질감이 느껴지는 행동을 하면 자칫 무례하다고 생각이 될 수 있습니다.
어느 나라에나 그 나라에 가면 그 나라 문화를 존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하시어 즐거운 일본여행이 되시길 바라요.
한국과는 다른 일본 에티켓 / 예절
식당에서는 바로 들어가지 말 것
우리는 일반적으로 식당으로 들어가면 무의식적으로 당연하게 비어있는 자리로 가서 앉는 것이 습관인데요. 하지만 일본은 이런 문화와는 다르게 암묵적으로 마음대로 자리에 앉지 않습니다. 어떤 식당이건 들어가면 일단 기다려서 직원이 나에게 몇 명이서 왔냐와 같은 멘트를 치기 전에 앉으면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으로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만일 일본어가 다소 부족해 몇 명이서 왔는지 대답하기 곤란하다면 손가락으로 한 명, 두 명 등 몇 명인지 인원을 알려주면 됩니다. 요즘은 한국인들이 워낙 일본을 많이 방문하다보니 일본 사람들이 한국인인 줄 알고 말을 못해도 잘 안내를 해주는 경향이 있어요.
편의점 화장실 이용
일본에는 편의점에 거의 화장실이 다 딸려 있습니다. 그래서 급한 사람들은 편의점에서 볼 일을 보는 경우도 많은데요. 보통의 경우에는 화장실 앞에 "화장실 사용 전에 직원에게 물어봐주세요"라는 문구가 적혀있는 곳이 많습니다. 하지만 일본어를 잘 모르는 여행객 입장에서는 그냥 들어가서 사용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그렇기에 화장실을 사용해도 되는지에 대해 미리 물어보는 게 예의입니다. 굳이 일본어가 잘 되지 않더라도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Toilet [토일렛]이라는 말만 해도 알아들어요.
반면, 관광지의 경우에는 화장실을 너무 많이 이용해서 그런지 화장실을 없애버린 곳도 많이 있습니다.
대중 교통 이용시 통화하지 않기
이 부분은 많은 분들이 알고 있지만, 전철, 버스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거의 통화를 하는 사람들이 없습니다. 또한 시끄럽게 떠드는 등 소리를 내는 행위들을 거의 하지 않는데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아~주 조용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습관이 되어 나도 모르게 지하철 등에서 전화를 하기도 하는데 이런 행동은 일본 문화와는 매우 맞지 않는 행동입니다. 특히나 일본에는 메이와쿠 문화라는 남에게 피해를 끼치는 행동을 극도로 싫어하는 그런 문화가 있어요. 혹시라도 전철에서 전화를 받으면 아주 작은 목소리로 조금 이따가 다시 전화를 한다고 말을 하거나, 전화를 안 받고 라인으로 대화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전화 통화 외에도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지만 혹시라도 남에게 피해를 끼치는 행동은 없을까 한 번 더 생각해볼 필요가 있어요. 잘 모르면 그냥 주변 일본 사람들처럼 행동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노약자 좌석에 아무나 앉는다.
일본 지하철의 특이한 점 중 하나로 한국과는 정반대로 노약자석에 자리가 있으면 그냥 앉는 경우가 많습니다. 노약자 좌석이 비어있으면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의 젊은 사람들의 경우에는 비어있더라도 그냥 비워두는 경우가 많은데, 일본에서는 그냥 비어있으면 누구든지 앉아서 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계산할 때 급하게 할 필요가 없다.
일본은 지폐를 사용하는 경향이 매우 강한 나라 중 하나입니다.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일본에서는 현금을 굉장히 선호하는데요. 또한 종류도 매우 다양합니다. 동전 중에 가장 큰 고액인 500엔의 경우에는 한화로 환율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보통 5천원 정도라고 이야기를 하고는 하는데, 5000원에 달하는 금액이 동전이기 때문에 동전이 상당히 많이 나옵니다. 그래서 계산할 때 동전을 지불하고 또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정말 많아요.
그래서 동전을 구분할 때 아무래도 시간이 소요되다 보니 계산을 해야한다고 빨리 빨리 급하게 할 필요도 없고 앞 사람이 동전을 구분하느라 늦는다고 하더라도 기다려줄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계산은 최대한 빨리하는게 예의라고 생각을 하지 않나 싶지만 일본은 그렇지는 않다는 점을 생각해두면 좋을 것 같아요.
부가세 별도 표시가 매우 많다.
한국에서는 물건을 구입할 때 부가세를 별도로 표기하지 않고 다 합쳐서 금액을 붙여두는 경우가 많은데요. 일본에서는 부가세 VAT 별도라고 표기가 되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100엔짜리 물건이라고 한다면 100엔 vat 별도 라고 적혀 있으면 10%를 더해 110엔이 되는 것인데요. 한국에서 가격을 일반적으로 표기하는 방법에 익숙해져 있어 보통의 여행객들은 멀리서 보면 100엔이라고 적혀있는데 계산할 때 110엔이 나온다는 점이 약간 함정처럼 느낄 수도 있겠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요즘에는 부가세 별도라고 표기를 하는 곳들도 조금씩 보이기는 하지만 대부분이 전체 손님이 지불해야할 금액을 표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긴 한 것 같습니다. 가격이란 부분은 민감하기도 하고 중요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미리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택시는 자동문
일본 택시는 거의 모든 택시가 자동문입니다. 일본은 택시 가격이 매우 비싼 편인데요. 그래서 가급적이면 택시를 안타고 여행경비를 좀 절약해볼까 하지만 부득이하게 택시 탈 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택시를 타기 위해 당연히 문을 열려고 하는데요. 일본에서는 택시를 탈 때 문을 열 필요도 없고 닫으려고 할 필요도 없습니다. 이런 점은 약간 뻘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알아두시길 바라요.
빨리 끝나는 영업시간
늦은 시간 식당이나 가고자 하는 곳을 방문한다면 미리 꼭 구글 지도 등을 이용해서 영업 시간을 확인하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늦게까지 영업을 하는 곳도 없지는 않지만, 일본의 대부분의 식당이나 가게들은 한국에 비하면 상당히 일찍 문을 닫는 편이에요. 어쩌면 한국이 이상하게 늦게까지 하는 것일 수도 있겠죠. 일본 뿐만이 아니라 가게 영업시간이 일찍 끝나는 경우가 해외에서는 많이 볼 수 있으니까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일본 여행 기본 준비물 리스트 / 반입시 주의해야할 품목
일본 여행을 할 때 챙겨가면 좋은 물건들 리스트를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여행은 비행기로 2시간도 걸리지 않는 정말 가까운 해외 여행지로 많이들 가는데요. 가까운만큼 가벼운
saigonia.tistory.com
한일 해저 터널은 왜 안 만드는걸까?
한일 해저터널은 1981년 처음으로 언급된 이후로 이따금씩 언론에서 나오기도 하는 말인데요. 한국과 일본을 잇는 해저터널이 왜 아직 없는지, 안 만드는 건지 못 만드는 건지에 대해 한 번 알아
saigonia.tistory.com
'세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국의 계층 사회 하이쏘, 로쏘는 뭘까? (0) | 2023.10.09 |
---|---|
한국인 남성 국제결혼 외국인 여성 국적 순위 (0) | 2023.10.09 |
도쿄 지하철 노선도 한글판 _ 도쿄 지하철 환승에 대한 개념 이해 (0) | 2023.10.08 |
한국 - 일본 직항 도시 리스트 (0) | 2023.10.08 |
태국 입국시 반입 가능 현금 담배 주류 규정 한도 (0) | 2023.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