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이야기/이슈와 이슈56 핀란드, 스웨덴 나토 가입 _ 나토 확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오랜 기간 중립국의 위치를 고수해오던 핀란드와 스웨덴도 나토 가입에 서명을 했다고 합니다. 핀란드와 스웨덴도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켜보면서 나토 가입을 해야겠다고 생각을 한 것 같은데요. 나토의 확대가 왜 크게 중요하냐면 미국을 중심으로 한 나토에는 이런 헌장이 있다고 합니다. '한 회원국이 공격받으면 전체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고 공동 방어에 나선다'고 약속을 하기 때문에 완전 군사적으로도 동맹을 맺게 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앞서 나토 30개 회원국 정상들은 이미 지난 30일 회의에서 만장일치로 스웨덴과 핀란드, 두 국가의 가입을 승인을 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모든 국가의 비준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입 최종 완료까지는 1년 내외의 시간이 걸릴 것.. 2022. 7. 16. 국가 부도 스리랑카 대통령 싱가폴로 도피 스리랑카 반정부 시위로 스리랑카 대통령이 몰디브를 거쳐 싱가폴로 도피했다고 한다. 원인. 지난 5월 19일 스리랑카에서는 7800만 달러의 국채 이자에 대한 채무 불이행을 발표한 후 국가부도를 의미하는 디폴트를 선언했다. 장기화한 코로나19와 함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외화벌이의 핵심 사업인 관광산업이 불황의 터널을 빠져나오지 못한 것이 국가부도의 주요 원인이라고 한다. 또한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에 적극 참여했다가 중국 부채가 전체의 최대 20%까지 급증한 것도 악재로 작용. 경과. 이로 인해 스리랑카 전국 곳곳에서 반정부 시위가 일어났고 스리랑카 정부에서 시위를 최루탄을 쏘며 저지해보려했지만 실패. 결국은 대규모 시위대가 대통령궁 앞에 모여 국기를 휘날리며 정권퇴진 구호를 외치다 바리케이드를 뚫고 나가 .. 2022. 7. 14. 중국 예금 인출 사태 중국 허난성이라는데서 시위가 일어났다고 합니다. 시위를 하는 이유는 은행에 입금을 했는데, 인출을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다고 하네요. 은행에 입금을 했는데 인출이 안되면 어쩌자는건지... 그냥 가만히 있어도 돈에 상당히 민감한 중국인들 입장에서는 가만히 있을 수가 없는 상황이 아닐 수가 없는데요. 현수막 내용은 '허난성 정부의 부패, 폭력에 반대한다', '40만 예금주의 중국몽이 허난에서 무너졌다' 등등... 역시나 결국엔 유혈 사태로까지 번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시위가 벌어지기 전으로 돌아가보면 이 동네 중소 마을은행의 예금 인출 중단 사고는 지난 4월부터 이미 시작됐다고 합니다. 피해자들 주장은 예금인출 사고 규모가 400억 위안, 우리 돈으로 7조 5천억 원정도일 것이라고 하는데요. 이 은행.. 2022. 7. 13. 아베 전 총리 사망에 중국 반응 아베가 사망한지 몇 일정도가 되어가는 것 같은데요. 아베 사망으로 인해 여러 나라별 반응이 있지만 중국 사람들이 보이는 반응이 가장 임팩트가 큰 것 같습니다. 아베가 사망에 클럽에서 사진띄워놓고 축하 파티를 하는 모습... 대형 전광판에 아베 죽음 축하 + 아베 사진을 띄워놓고 사람들 춤추고 있는 모습입니다. 클럽과 같은 큰 규모의 장사가 아닌 동네 구멍가게라고 볼 수 있는 밀크티 가게까지 축하 기념 1+1 행사 중인 모습이네요. 이러한 모습을 본 일본인들은 여러 SNS에서 중국어를 일본어로 해석하면서 분노하고 있다고 합니다. 아베 전 총리가 아무래도 일본 내 '우파 그룹'을 대변하며 중국과의 관계가 좋지 않았던 점이 영향을 미친 것 같기는 하지만 이렇게 사람이 죽었는데 옆에서 조롱을 하는 식의 행동은 .. 2022. 7. 13. 이전 1 ··· 11 12 13 14 다음